top of page
Hands Touching_edited.jpg

HPUSA 

한풍제약USA에서 제공하는 정보입니다.

경옥고의 효능, 효과 및 안전성: 서술적 검토

연구 기사: 내러티브 검토

김지우 MSa; 금지혜 KMD, PhDa,b,c; 하원배 KMD, PhDa,c; 우현준 KMDa,c; 한윤희 KMDa,c; 박신혁 KMDa,d; 이정한 KMD, PhDa,c,e,*


저자 정보

Medicine 101(45):p e31311, 2022년 11월 11일. | DOI: 10.1097/MD.0000000000031311


-------------------------------------------------------------------------------------------------------

초록


동아시아의 전통 약재인 경옥고(KOK)는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었습니다. 그러나 임상 및 실험 연구를 대상으로 한 KOK의 임상 적용에 대한 포괄적인 검토가 부족합니다. 따라서 KOK의 적용은 강장제 범위로 제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KOK의 효과, 메커니즘 및 안전성을 조사하여 임상 적용에서의 효과에 대한 증거를 얻고자 합니다. 11개 데이터베이스(PubMed, Cochrane Library, Excerpta Medica dataBAS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Google Scholar,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orean Medical Database, DBpia, ScienceON)에서 임상 및 실험 논문을 검색했습니다. 포함 기준에 따라 54개 연구를 선택했습니다. 3개 임상 연구에서 소비성 질환과 건강 증진을 위해 KOK를 사용했습니다. 51건의 실험 연구에서 KOK의 항산화 활성, 신경 보호 활성, 항암 효과, 항염 활성, 면역 활성, 성장 촉진, 심혈관계 질환, 위장계 질환, 호흡기계 질환, 대사성 뼈 질환에 미치는 영향, 간 보호 기능, 항피로 기능이 보고되었으며, 이는 소비성, 만성, 대사성, 염증성 및 면역 질환에서 효과적이고 안전한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우리는 광범위한 질병의 치료에서 KOK의 효과를 확인했습니다. 그러나 앞으로 추가적인 임상 연구가 필요합니다.


-------------------------------------------------------------------------------------------------------

1. 소개


지황으로 구성된 경옥고(KOK). purpurea, Panax 인삼, Poria cocos 및 Mel은 동아시아의 전통 약재입니다.[1] 홍시지연방(洪氏集驗方)에서 처음 언급된 이후 ​​의학강목(醫學綱目), 의학입(宇论綱目) 등 여러 의서에 기록되어 있다. 문(醫學入文), 동의보감(東醫寶鑑). 의학 서적을 전반적으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KOK는 정(精)과 골수를 채워 건강을 증진시키고, 뇌수 부족으로 인한 현기증과 건망증을 치료하며, 위장병과 호흡기 질환에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2 ,3]


최근 보고서에서는 KOK와 KOK로 구성된 개별 허브의 생화학적 분석이 입증되었으며[4–10] KOK와 관련된 여러 실험 및 임상 연구가 정기적으로 발표되었습니다. 또한 연구자들은 KOK를 사용하는 수많은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식품(식초,[11] 음료,[12] 요거트[13]) 및 화장품[14]과 같은 비치료적 목적도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제품의 효과가 연구에서 입증되었습니다. 따라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그러나 다양한 질병에서 KOK의 임상적 효능에 대한 포괄적인 검토를 식별하는 것은 어렵고, 이는 임상 분야에서의 사용에 대한 기반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그 효과에도 불구하고 제한적으로 KOK가 임상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건강을 개선하는 강장제 범위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3] 따라서 우리는 KOK와 관련된 임상 및 실험 연구를 검토하고 그 추세와 결과를 분석하고자 했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습니다. 다시 말해, 우리는 다양한 임상 분야에서 KOK를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증거를 제시하고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습니다.


-------------------------------------------------------------------------------------------------------

2. 방법


2.1. 검색 전략


이 서술적 검토는 2022년에 KOK에 대한 논문을 식별하기 위해 설계 및 수행되었습니다. 우리는 다음 11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했습니다: PubMed, Cochrane Library, Excerpta Medica dataBAS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다른 국가의 Google Scholar, 그리고 6개의 한국 데이터베이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orean Medical Database, DBpia, 그리고 ScienceON). 표 1은 각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어를 보여줍니다.


표 1 - 이 연구에 사용된 Electric 데이터베이스와 검색어.

Electric databases

Domain

Search terms

RISS

경옥고

OASIS


KISS


KMbase


DBpia


ScienceON


PubMed

(Kyungohkgo) OR (Kyungokgo) OR (KyungOkKo) OR (Kyeongokgo) OR (KyungOcGo) OR (Gyungokgo) OR (瓊玉膏) OR (琼玉膏) OR (QiongYugao)

Cochrane library

Kyungohkgo in Title Abstract Keyword OR Kyungokgo in Title Abstract Keyword OR KyungOkKo in Title Abstract Keyword OR Kyeongokgo in Title Abstract Keyword OR KyungOcGo in Title Abstract Keyword Gyungokgo in Title Abstract Keyword OR 瓊玉膏 in Title Abstract Keyword OR 琼玉膏 in Title Abstract Keyword OR QiongYugao in Title Abstract Keyword

EMBASE

kyungohkgo:ti,ab,kw OR kyungokgo:ti,ab,kw OR kyungokko:ti,ab,kw OR kyeongokgo:ti,ab,kw OR kyungocgo:ti,ab,kw OR gyungokgo:ti,ab,kw OR 瓊玉膏:ti,ab,kw OR 琼玉膏:ti,ab,kw OR qiongyugao:ti,ab,kw

CNKI

(Title, Keyword and Abstract: 瓊玉膏(精确)) OR (Title, Keyword and Abstract: 琼玉膏(精确)) OR (Title, Keyword and Abstract: QiongYugao(精确))

Google Scholar

allintitle: Kyungohkgo OR Kyungokgo OR KyungOkKo OR Kyeongokgo OR KyungOcGo OR Gyungokgo OR 瓊玉膏 OR 琼玉膏 OR QiongYugao

경옥고 = Korean word of Kyung-ok-ko.


2.2. 적격 기준


검색은 2022년 4월 12일부터 2022년 4월 19일까지 수행되었으며, 2021년 12월 31일까지 출판된 연구로 제한되었습니다. 먼저, 논문과 학위논문을 검색에서 제외했습니다. 연구 선택을 위한 기타 구체적인 포함 및 제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2.2.1. 포함 기준.

실험 연구(시험관 내, 생체 내 및 생체 외 연구).


환자의 나이, 성별, 기간 및 연구 설계에 제한이 없는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모든 임상 연구.


한국어, 영어 및 중국어로 출판된 연구.


2.2.2. 제외 기준.

저널에 출판되지 않은 연구.


원본 텍스트를 사용할 수 없는 연구.


문헌 검토.


프로토콜, 학위논문 및 포스터와 같은 회색 출판물.


KOK의 효과가 주요 주제가 아닌 연구.


각 KOK 제조 방법의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


치료적 용도가 아닌 상용화된 KOK를 분석하는 연구.


2.3. 데이터 수집 및 추출

연구 선택 프로세스의 흐름도는 그림 1에 나와 있습니다. 먼저 검색 전략에 따라 검색을 수행하여 420개의 논문을 식별했습니다. 한국어, 영어 또는 중국어로 출판되지 않은 논문과 중복된 논문을 제거한 후 142개 연구를 기반으로 한 선택 기준에 따라 스크리닝을 수행했습니다. 첫 번째 스크리닝은 제목과 초록을 사용하여 수행되었고 두 번째 스크리닝은 원본 텍스트를 검토하는 것이었습니다. 두 명의 저자(김지우와 금지혜)가 독립적으로 문헌을 검토했습니다. 그들은 문헌 평가 프로세스와 결과의 차이점을 논의하거나 세 번째 저자(이정한)와의 논의를 통해 의견을 조정했습니다.



그림 1.


이 연구에서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위한 PRISMA 흐름도. KOK = 경옥고, PRISMA = 체계적 고찰 및 메타 분석의 선호 보고 항목.


출처

경옥고의 효능, 효과 및 안전성: 서사적 고찰

Medicine101(45):e31311, 2022년 11월 11일.

-------------------------------------------------------------------------------------------------------

3. 결과


3.1. 대상 연구의 선택

총 54개의 연구가 최종적으로 선택되었으며, 여기에는 3개의 임상 연구와 51개의 실험 연구가 포함되었습니다.


3.2. 임상 연구 검토

선택된 임상 연구에 대해 연구 설계, 질병, 구성 및 투여 방법(표 2)의 결과를 분석했습니다.


표 2 - 임상 연구의 주요 데이터.

References

Study design

Sample size

Conditions

Other treatment

Composition of KOK

Main outcome

Yin et al[15]

RCT

60 (30/group)

Tuberculosis (Pulmonary-Yin-deficiency)

W-med

*

1) Effective rate: CG 80.00%, e.g. 93.33%


2) Th1↑, Th2↓

Kim et al[16]

RCT

24 (12/group)

Normal soccer player

-

*

1) Aerobic exercise capacity: IMP


2) Fatigue recovery: IMP

Wang[17]

Case report

16

Weakness from long-term illness (qi-deficiency)

-

*, LR,


AR, LRC

1) Symptoms: IMP


2) Infection resistance: IMP (prevalence rate↓)


3) No side effect

*= KOK의 원래 구성, - = 보고되지 않음, AR = 천궁, CG = 대조군, EG = 실험군, IMP = 개선됨, KOK = 경옥고, LR = 맥문동, LRC = 구기자피질, RCT = 무작위 대조 시험, Th = T 헬퍼 세포, W-med = 서양 의학.



3.2.1. 연구 설계 분석.


임상 연구는 2개의 무작위 대조 시험[15,16]과 1개의 사례 보고로 구성되었습니다.[17]


3.2.2. KOK 구성 및 투약 방법 분석.


2개의 연구에서는 KOK의 원래 구성을 사용했고[15,16], 1개의 연구에서는 Liriope platyphylla, Asparagus cochinchinensis, Lycium chinense를 추가하여 KOK를 투여했습니다.[17]


투여 빈도와 관련하여 3개의 연구 모두 1일 2회 투여를 기준으로 했습니다.[15–17] 2개의 연구에서 총 4주 기간이 언급되었지만[15,16] 1개의 연구에서는 언급되지 않았습니다.[17]


3.2.3. 복합 치료 분석.

한 연구에서 복합 치료를 언급했습니다. 대조군에 투여된 유사한 서양 의학을 실험군에 KOK와 함께 투여하고 그 효능을 분석했습니다.[15] 나머지 2개 연구에서는 결합 치료를 시행하지 않았습니다. 각 연구에서는 위약과 비교한 KOK의 효능[16]과 KOK 단독의 효능[17]을 분석했습니다.


3.2.4. 적용 질환.

한 연구에서는 폐결핵에 사용된 진단명을 기반으로 KOK를 사용했고[15] 나머지 2개 연구에서는 환자의 불만에 따라 KOK를 사용했습니다.[16,17] 구체적으로, 그들은 폐음의 패턴화된 결핍인 폐결핵,[15] 정상적인 운동선수의 피로,[16] 패턴화된 기 결핍을 나타내는 장기간의 질병에 따른 쇠약에 대해 보고했습니다.[17]


3.2.5. 결과 분석.

두 연구에서 환자의 주관적 증상이 개선되었다고 보고했으며, 각각 폐결핵과 관련된 기침, 가래, 열병, 야간 발한[15], 식욕 부진에서의 회복, 허약함과 관련된 체력[17]과 같은 증상 완화에서 상당한 개선을 보였습니다.


두 연구에서 객관적 지표의 개선이 보고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 폐 영상에서 석회화 감소, 결핵균 검사 음성, T 헬퍼 세포(Th)1 증가, 진단 실험실 검사에서 Th2 감소가 폐결핵의 지표로 나타났습니다.[15] 또한 최대 산소 소비량의 개선과 심박수 감소가 피로의 지표로 보고되었습니다.[16]


3.2.6. 부작용.

한 연구에서 치료 중에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언급했습니다.[17] 다른 연구에서는 부작용이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3.3. 실험 연구 검토

표 3은 선택된 실험 연구의 연구 설계, 구성 및 주요 결과에 대한 분석을 요약한 것입니다.


표 3 - 실험 연구의 주요 데이터. 약초의 이름은 사용된 부분을 포함하여 라틴어로 작성되었습니다.

References

Study design

Composition of KOK

Activity/main mechanism

Xue and Au[18]

In vivo

*

Delay aging/antioxidant

Kwak et al[19]

In vivo

*

Delay aging/antioxidant

Xue and Li[20]

In vivo

*

Improvement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antioxidant of hypothalamus and delay brain neuronal disturbance

Qian and Wei[21]

In vivo

*

Anti-aging skin/antioxidant and hydroxyproline, hyaluronic aci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Qu et al[22]

In vivo

*

Delay aging/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Liu et al[23]

In vivo

*

Delay aging/antioxidant

Hwang et al[24]

In vivo

*, LF, ARL, ss

Spermatogenic ability/antioxidant and Inhibiting apoptosis

Jo and Choi[25]

In vitro

-

Inflammation of atopic dermatitis↓/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Liu et al[26]

In vitro and in vivo

RR, P, KRPG, M

Anti-depressive/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Lee and Bae[27]

In vitro and in vivo

*, LF, ARL, ss

Inhibited particulate matter-induced vascular barrier disruptive responses/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Choi et al[28]

In vivo

*, LF, ARL, ss

Mitigate neurotoxicity and anti-blood-brain-barrier disruption/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Cai et al[29]

In vivo

*, LF, ARL, ss

Neuroprotective and attenuation of memory impairment/anti-inflammatory

Shin et al[30]

In vitro and in vivo

*, LF, ARL, ss

Memory ameliorating/inhibit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Park et al[31]

In vivo

1) RR, P, GR


2) RR, P, GR, AGR, GR, HH, OCR, LgR, SR, WG

Learning ability and memory improver

Cho et al[32]

In vivo

*

Amelioration and prevention of cognitive deficits and depression among menopausal symptoms/mature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mBDNF)↑

Liu et al[33]

In vivo

*

Anti-aging/down-regulation of acetonic and amino acid metabolism

Liu et al[34]

In vivo

*

Delay aging/selection of candidate target proteins for delaying aging

Zhang et al[35]

In vitro and in vivo

*

Delay aging/anti-inflammatory

Zhang et al[36]

In vitro

*

Enhance the effects of anti-lung cancer chemotherapy(cisplatin)/-

Chen and Shen[37]

In vivo

*

Enhance the effects of anti-lung cancer chemotherapy(cisplatin)/nucleoside diphosphate kinase A (nm23)↑ and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Chen and Shen[38]

In vitro

*

Enhance the inhibition effects of anti-lung cancer chemotherapy(cisplatin)/G1 period↑ and S period↓ of cancer cells

Chen et al[39]

In vivo

*

Enhance the attenuation effects of anti-lung cancer chemotherapy(cisplatin)/-

Lee et al[40]

In vivo

1) *


2) RR, P, RPG, M, LE, CV

Anti-lung cancer/-

Liu et al[41]

In vivo

*

Attenuate pancreatic cancer with chemotherapy(gemcitabine)/Th1/Th2 and Th/Treg ratio↓, white blood cell↑, and Red blood cell↑

Chen et al[42]

In vivo

*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inhibited hepatitis B virus X antigen expression

Chen et al[43]

In vivo

*

Improve bone marrow inhibition induced by cancer chemotherapy(cisplatin)/erythrocyte, leucocyte, and blood platelets in bone marrow↑

Chen[44]

In vivo

*

Alleviating immune suppression induced by cancer chemotherapy(cisplatin)/IL-2 and TNF↑

Chen[45]

In vitro and in vivo

*

Improve bone marrow inhibition induced by cisplatin/bone marrow nuclear cells↑, increasing S period, and decreasing G1 period of cells

Teng et al[46]

In vitro and in vivo

RR, P, GR

Protects against cisplatin-induced nephrotoxicity without reducing anti-tumor activity/anti-inflammatory and reducing platinum accumulation in the kidney

Jang et al[47]

In vivo

*, LF, ARL, ss

Alleviates polycystic ovarian syndrome/regulate immunological pathway and anti-inflammatory

Lee et al[48]

In vitro and in vivo

*, LF, ARL, ss

Suppressing polycystic ovarian syndrome/regulate immunological pathway and anti-inflammatory

Roh et al[49]

In vivo

*

Enhance immunity/Th1, interferon gamma, IL-2, IL-12, Th2, IL-4, IL-5, IL-13, spleen cells, T cells, B cells, and macrophages↑

Lee et al[50]

In vitro

1) *


2) RR, P, RPG, M, LE, CV

Activate immunity/the ability of macrophages to produce nitric oxide and TNF-a↑

Im et al[51]

In vivo

*

Inhibition of atopic dermatitis/downregulated IgE and reduced the infiltration of mast cell

Do et al[52]

In vivo

*, PMR

Hair growth/IGF-1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Cha et al[53]

In vivo

*, CP

Growth effect/red blood cell, hemoglobin, and hematocrit↑

Han et al[54]

In vivo

*

Growth and learning effect/red blood cell and hematocrit↑

Jung et al[55]

In vivo

*, CH, MO, CR, CP

Growth effect/IGF-1 and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Kim et al[56]

Ex and in vivo

*, LF, ARL, ss

Anti-platelet and anti-thrombotic/adenosine triphosphate (ATP) release↓, intracellular Ca2+↑, and the phosphorylation of phospholipase C gamma and protein kinase B

Kim and Song[57]

In vivo

1) *


2) *, SM


3) *, SM, CF, AtR, CS, HF

Anti-hyperlipidemia/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and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Whang et al[58]

In vivo

*

Antihyperlipidemia, antihypertension, antifatigue, and weight loss/cholesterol and triglyceride↓

Shin and Yang[59]

In vitro

*

Oxidative damage defense of myocardial cell/Heme oxygenase-1↑, Fas↓, Fas ligand↓, and Bcl-XS↓

Wen[60]

In vivo

*

Laxation/-

Chen et al[61]

In vivo

*

Protect gastric mucosa/gastric mucositis cells and neutrophils↓

Whang et al[62]

In vivo

*

Anti-inflammatory and alleviates gastric ulcer and pain and regulate temperature/-

Hu et al[63]

In vivo

*

Anti-inflammatory, expectorant, and antitussive/-

Jeon et al[64]

In vitro

*

Decrease antituberculosis drug dosage and drug resistance/-

Hwang et al[65]

In vitro and in vivo

1) *


2) *, HD

Antiosteoporosis/lower serum calcium, phosphorus, alkaline phosphatase, CD4+, CD8+, and CD11c + cells↓ and serum estradiol↑

Kim et al[66]

In vitro and in vivo

1) *


2) *, NS

Inhibit osteoclast and increase osteoblasts/-

Kwon and Kim[67]

In vivo

*

Improve and prevent liver injury/GOT and GPT↓

Kim et al[68]

In vivo

*

Anti-fatigue/serum lactate↓, serum glucose↑, and glycogen in muscle↑

*= KOK의 원래 구성, - = 보고되지 않음, ↑ = 증가, ↓ = 감소, AGR = Angelicae gigantis radix, AtR = Astragali radix, ARL = Aquilariae resinatum lignum, CD = 분화 클러스터, CF = Crataegii fructus, CH = Cistanches herba, CP = Cervi pantotrichum cornu, CR = Cibotii rhizoma, CS = Cassiae 정액, CV = 동충하초, GOT = 글루타민 옥살아세트산 트랜스아미나제, GPT = 글루타민 피루베이트 트랜스아미나제, GR = 인삼 기수, HD = Hovenia dulcis, HF = Hordei fructus Germiniatus, HH = 수국 약초, Ig = 면역글로불린, IGF =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L = 인터루킨, JGR = 일본 안젤리카 기수, KRPG = 고려홍삼, LE = Lentinula edodes, LF = Lycii fructus, LgR = Ligustici rhizoma, M = Mel, MO = Morindae radix, NS = Nelumbo semen, OCR = Opuntiae caulis et radix, P = Poria, PMR = Polygoni multiflori 기수, RR = Rehmanniae 기수, RPG = 빨간색 빨간색 panax 인삼, SR = 황금황, ss = 단순 시럽, SM = 단단풀, Th = T 보조 세포, TNF = 종양 괴사 인자, WG = 야생 시뮬레이션 인삼.


3.3.1. 연구 설계 분석.


51개의 실험 연구 중 35개, 6개, 9개, 1개가 각각 생체 내, 시험관 내, 생체 내 및 시험관 내, 그리고 생체 외 및 생체 내 연구였습니다. 모든 생체 내 연구에서는 마우스를 시험 대상으로 사용했지만, Xue et al.의 연구에서는 초파리를 시험 대상으로 사용했습니다.[18]


3.3.2. KOK의 구성.

모든 실험 연구 중 33개 연구에서는 Rehmannia glutinosa var. purpurea, Panax ginseng, Poria cocos 및 Mel로 구성된 원래 제형을 사용했고, 18개 연구에서는 원래 제형에 다른 약초를 추가했습니다. Lycium chinense와 Aquilaria agallocha가 가장 일반적으로 추가되었으며 8개 연구에서 언급되었습니다. 인삼 대신 홍삼을 사용한 연구는 3개, Cervus nippon, Lentinula edodes, Cordyceps sinensis를 추가한 연구는 2개였습니다. 당귀, 수국 대목, Opuntia ficus-indica, Ligusticum chuanxiong, Scutellaria baicalensis, 야생 모의 인삼, Polygonum multiflorum, Cistanche salsa, Morinda officinalis, Cibotium barometz, Salvia miltiorrhiza, Crataegus pinnatifida, Astragalus membranaceus, Cassia tora, Hordeum vulgare, Hovenia dulcis 및 Nelumbo nucifera가 KOK에 추가되었습니다.




3.3.3. 결과 분석.

11개의 실험 연구에서 분석된 항산화 활성이 가장 유의미한 효과를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중추신경계와 암에 대해서는 각각 10건의 연구가 보고되었습니다. 게다가 연구에서는 항염증, 면역학적, 성장관련, 심혈관, 위장관, 호흡기, 대사성 뼈 질환, 간 보호 및 항피로 효과에 대해 보고했습니다(그림 2).



그림 2.


실험 연구에서 효과당 사례 수. 숫자는 복수로 계산되었습니다.


출처


경옥고의 효능, 효과성 및 안전성: 서사적 리뷰


Medicine101(45):e31311, 2022년 11월 11일.


3.3.3.1. 항산화 활동

11건의 연구에서 KOK의 항산화 활동의 기저 메커니즘이 입증되었습니다.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18–23]와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18–20,22–24]는 각각 6건의 연구로 항산화 메커니즘을 통한 활성화 빈도가 가장 높았습니다. 3가지 연구에서는 활성 산소종(ROS) 감소를 통한 항산화 메커니즘에 대해 보고했습니다.[25–27] 게다가 연구자들은 일산화질소(NO)와 유도성 NO의 억제,[26] 혈장 티오바르비투르산 반응성 물질의 감소,[19] 지질 과산화,[20] 말론디알데히드,[21] 항켈치 유사 ECH 관련 단백질-항핵인자 에리트로이드 2 관련 인자 2 경로의 활성화와 같은 다양한 항산화 메커니즘을 입증했습니다.[28]


항산화 메커니즘을 통한 KOK의 효능과 관련하여 6가지 연구에서는 노화 방지 효능에 대해 보고했고[18–23] 나머지 연구에서는 아토피 피부염의 염증 완화,[25] 우울증 완화,[26] 정자 생성 증가,[24] 신경 독성 완화,[28] 혈관 장벽 파괴 억제가 입증되었습니다.[27]


3.3.3.2. 중추 신경계

연구자들은 KOK와 중추 신경계에 대한 10가지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구체적으로 기억 장애로부터의 완화[29–32]가 4가지 연구에서 보고된 것처럼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습니다. 또한 노화 방지[33–35], 우울증 개선[26,32], 신경계 손상으로부터의 회복[20,28], 신경 보호에 대한 3가지, 각각 2가지, 1가지 연구로 나눌 수 있습니다.[29]


중추 신경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연구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서 항염증 활성[28,29,35]과 항산화 활성[20,26,28]이 가장 일반적으로 조사되었으며, 각각 3가지 연구에서 평가되었습니다. 나아가 해당 효과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를 억제하여[30] 아세톤산과 아미노산의 대사를 조절하고[33] 뇌 표적 단백질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분석되었습니다.[34]


3.3.3.3. 항암 효과

10건의 연구에서 항암 효과가 보고되었으며, 그 중 7건의 연구에서는 직접적인 항암 효과가 보고되었고[36–42], 3건의 연구에서는 암 치료 중 시스플라틴 항암 화학 요법의 부작용 완화에 대해 언급했습니다.[43–45] 구체적으로, 폐암은 8건의 연구에서 보고되었고[36–40,43–45], 췌장암[41]과 간암[42]은 각각 1건의 연구에서 보고되었습니다.


3건의 연구에서는 폐암 후 항암 화학 요법의 부작용 완화가 보고되었으며, 이는 골수 억제[43,45]와 면역 억제 완화와 관련이 있었습니다.[44]


3.3.3.4. 항염증 활성

7건의 연구에서 KOK의 항염증 활성이 보고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 일부 연구에서는 사이토카인[27](인터루킨[IL]-1β,[28,29,46–48] 종양괴사인자-α,[35,46,47] 및 IL-6[28,47,48]), 케모카인(IL-8 및 단핵구 화학유인 단백질-1),[47,48] 사이클로옥시게나제-2,[28,46] 및 유도성 NO[28,47]의 감소를 통해 항염증 활성을 보고했습니다. 또한, 항염증 활성은 핵인자-카파 B 신호 전달 경로[28,35] 및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28]의 억제를 통해 활성화됩니다.


3.3.3.5. 면역학적 연구

5가지 연구에서 면역 기능이 입증되었습니다. 첫째, 한 연구에서는 메토트렉세이트의 면역 독성 효과인 비장 세포, T 세포, B 세포, 대식세포의 감소를 완화하여 면역을 개선하고 Th1과 Th2 불균형을 회복했습니다[49]. 또 다른 연구에서는 대식세포 활성화를 통해 면역 활동을 증가시켰습니다.[50] 또한 한 연구에서는 면역글로불린 E 감소를 통해 아토피성 피부염에 유익한 효과[51]를 보고했고, 두 연구에서는 항염 활동과 함께 분화 8 군집과 대식세포 감소를 통해 다낭성 난소 증후군을 억제했습니다.[47,48]


3.3.3.6. 성장 촉진

4가지 연구에서 성장 촉진을 보고했는데, 그 중 1가지는 모발 성장을 보였고 나머지는 신체적 성장을 보였습니다.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1 및 혈관 내피 성장 인자와 같은 모발 성장 인자와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은 탈모 중에 모발 성장을 촉진했습니다.[52] 신체적 성장과 관련하여 영양결핍으로 인한 성장장애에서 적혈구 총수와 농축세포 용적을 증가시켜 성장을 촉진한다는 보고가 2건 있었다.[53,54] 반면, 다른 연구에서는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1과 갑상선 자극호르몬을 증가시키면 유의한 성장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55]


3.3.3.7. 심혈관 연구

연구 중 4개는 심혈관계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구체적으로, 그들은 항혈전 활동,[56] 항고지혈증 효과,[57,58] 심근세포의 산화적 손상으로부터의 보호를 보고했습니다.[59]


3.3.3.8. 위장관 연구


3개 연구는 위장관계와 관련이 있었고, 각 연구는 KOK가 이완,[60] 위 점막 보호,[61] 급성 및 만성 항염 효과, 궤양 억제 및 진통에 미치는 상당한 효과를 보고했습니다.[62]


3.3.3.9. 호흡기 연구


2개 연구는 호흡기계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한 연구에서는 거담 및 기침 완화 효과가 보고되었고[63], 다른 연구에서는 KOK가 항결핵 효과가 있고 항결핵제와 병용 투여 시 약물 내성이 감소한다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64]


3.3.3.10. 대사성 골 질환


두 연구는 대사성 골 질환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한 연구에서는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골다공증에 상당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고[65], 다른 연구에서는 염증성 골 손실 시 골모세포 증식과 골 흡수가 억제된다고 보고되었습니다.[66]


3.3.3.11. 간 보호 연구


한 연구에서는 KOK의 간 보호 효과를 보고했는데, 이는 혈청 글루타민산 옥살로아세트산 트랜스아미나제와 글루타민산 피루브산 트랜스아미나제 활성화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티오바르비투르산 형성을 억제하고 글루타치온과 함께 간 조직의 병변을 개선하여 간 손상을 개선하고 예방하는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67]


3.3.3.12. 항피로 효과


한 연구에서는 KOK의 혈청 젖산을 감소시키고 혈청 포도당과 근육 내 글리코겐 수치를 증가시켜 항피로 효과를 보고했습니다.[68]


3.3.3.13. KOK의 독성 및 부작용


8개의 연구에서 KOK의 독성과 부작용을 보고했습니다. 그 중 6개 연구에서는 KOK의 독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했으며, 주로 세포독성이 없음을 입증했습니다.[25–27,47,56,65] 구체적으로, 1개 연구에서는 평균 체중, 아스파르트산 아미노트랜스퍼라제,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 젖산 탈수소효소, 종양괴사인자-a, 간과 신장의 Fas가 KOK 투여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보고했습니다.[47] 또한 KOK는 장기간 투여하더라도 독성을 유발하지 않았습니다.[47]


3개 연구에서 KOK의 부작용을 언급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혈청

글루타민산 옥살아세트산 트랜스아미나제와 글루타민산 피루브산 트랜스아미나제 수치는 KOK 투여 동안 변화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KOK는 간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42,53] KOK의 항혈전 효과와 관련하여 한 연구에서는 아스피린에 비해 출혈 시간이 짧아 부작용 측면에서 아스피린에 비해 잠재적인 이점이 있다고 보고했습니다.[56]




4. 토론


KOK는 의과학綱目, 의학입문, 동의보감 등 다양한 의서에 기재되어 있으며, 홍시기연방(洪氏集驗方)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이다. 또한 지황으로 구성된 동아시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처방 중 하나입니다. 자반, 인삼, 복령, 멜[1,2] 정(精)과 골수를 채워 건강을 증진시키거나 체액부족으로 인한 소모성 감기와 조(燥)병에 쓸 수 있다.[1 ] 특히, 의학입문, 경월전서(景岳全書), 동의보감에서는 곡옥의 원래 성분에 1~3가지 약초를 더하면 특정한 효과가 있는 가미곡옥을 만들 수 있다고 언급되어 있습니다. [2] KOK는 일반적으로 강장제와 소모성 질환에 사용할 수 있으며, 약초를 적절히 더하거나 빼면 다양한 질환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2,3]


연구자들은 KOK와 개별 약초의 생화학적 분석을 활발히 조사하고 보고했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KOK로 구성된 추출물이 보고되었습니다. KOK에는 아미노산(발린, 아스파르트산 및 아르기닌)과 14가지 미네랄(K 및 Na)이 포함되어 있습니다.[4] 특히 클로로포름을 용매로 사용한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습니다.[4] 또한 , KOK를 구성하는 개별 약초에 대한 각 연구를 살펴보면서, 주요 약초인 Rehmannia glutinosa var. 자포리아는 항염, 항산화, 저혈당 및 자율신경계 활성으로 인해 다양한 염증성 및 대사성 질환에 효능이 있습니다.[5]포리아코코스는 사이토카인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면역, 항암, 위장 및 신장 질환에 효과적입니다.[6,7]인삼은 주요 성분으로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고 있으며, ROS 생성을 억제하고 NO 생성을 촉진하여 항산화, 항염증, 면역 자극 활동을 나타냅니다.[8] –10] 또한 이러한 활동으로 인해 심혈관계, 신경퇴행성 질환, 당뇨병 및 합병증에 효과적입니다.[8–10] 또한 수많은 실험적 및 임상적 연구에서 KOK의 효과가 입증되었지만 종합적인 연구를 식별합니다. 역사적 의학 서적을 기반으로 한 KOK의 효능에 대한 한 가지 검토 연구가 있지만, 그것은 의학 서적에 초점을 맞추었고 단지 7개의 한국 연구만을 분석했습니다.[3] 이러한 이유들은 결국 임상 분야에서 KOK 사용 범위를 좁히는 데 기여했습니다. 현재 KOK는 제한된 범위의 강장제에 주로 사용됩니다.[3] 따라서 우리는 11개의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KOK 관련 연구를 검토하고 분석하여 충분한 증거를 수집했습니다. 임상적 사용을 위해 그리고 미래 연구 방향을 제안합니다.


총 54개의 연구가 KOK와 관련이 있었고 그 중 3개는 임상 연구였습니다.[15–17] 각 연구는 폐음의 패턴화된 결핍인 폐결핵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15 ] 피로,[16] 장기 질병과 패턴화된 기 결핍에 따른 허약함.[17] 그들은 질병 치료제이자 강장제로서의 KOK의 유용한 효과에 대해 보고했습니다. 또한 Wang의 한 연구[17] 동의보감에서 나온 맥문동, 천궁, 구기자를 첨가하여 복합적으로 사용하였습니다. 이는 앞서 언급한 약초를 추가하여 KOK 범위를 늘리는 기반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와 달리 1개 연구에서는 KOK를 서양 의학과 결합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조군은 동일한 서양 의학으로만 치료되었습니다.[15] 결국 , 모든 임상 연구에서 KOK의 단일 효과가 밝혀졌습니다.


우리는 KOK에 대한 51개의 실험 연구를 확인했습니다. KOK의 원래 구성 외에도 다양한 허브가 추가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 33개 연구에서는 원래 구성을 사용했고 18개 연구에서는 허브를 추가했습니다.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와 아퀼라리아 아갈로카(Aquilaria agallocha)가 가장 흔히 첨가되는 약초였으며, 8개 연구에서 확인되었습니다. 구기자나무는 말론디알데히드 형성을 억제하고,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제거와 항슈퍼옥사이드 형성을 활성화하며[69]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간독성을 예방하거나 완화합니다.[ 70] 또한, 그것은 트리메틸틴에 의해 유발된 학습 및 기억력 결핍의 치료제로 유용합니다.[71] 4-부틸-α-아가로푸란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Aquilaria agallocha는 동물 모델에서 항불안 효과를 나타냈습니다.[72] 이들 약초의 효능, KOK와의 조합은 항산화 활성과 중추 신경계에 대한 효과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홍삼은 3개 연구에서 인삼 대신 사용되었으며 주로 우울증 완화,[26] 항암 효과,[ 40] 및 면역 활동.[50] 다른 약초를 추가하지 않고 인삼 대신 홍삼을 사용한 연구는 단 1건뿐이었으며 우울증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26] 이 결과는 다른 연구에서 입증된 결과와 일치했습니다. 홍삼은 성상세포 간극접합부 기능을 개선하여 우울증을 완화시킨다.[73] 따라서

-------------------------------------------------------------------------------------------------------

5. 결론


KOK는 항산화, 항암, 항염, 면역 및 성장 촉진 특성을 통해 다양한 질병에 효과적일 수 있으며, 중추 신경계, 심혈관, 위장 및 호흡기 효과에도 효과적이며, 심각한 독성이나 부작용이 없습니다. 추가


감사의 말

영어 편집을 해주신 Editage(www.editage.co.kr)에 감사드립니다.


저자 기여

개념화: 김지우, 금지혜.

데이터 큐레이션: 김지우.

조사: 김지우, 금지혜.

방법론: 우현준, 한윤희, 박신혁.

프로젝트 관리: 금지혜.

지도: 하원배, 이정한.

검증: 하원배, 우현준, 한윤희, 박신혁.

시각화: 김지우, 금지혜.

집필 – 초안: 김지우, 금지혜.

집필 - 리뷰 및 편집: 금지혜, 하원배, 우현준, 한정희, 박신혁, 이정한.


약어:

AChE

=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ALT

=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AST

= 아스파르트산 아미노전이효소


CD8+

= 분화 클러스터 8


GOT

= 글루탐산 옥살아세트산 전이효소


GPT

= 글루탐산 피루브산 전이효소


GSH-px

=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


Ig

= 면역글로불린


IGF

=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L

= 인터루킨


iNOS

= 유도성 일산화질소


KOK

= 경옥고


LDH

= 젖산 탈수소효소


MDA

= 말론디알데히드


MTX

= 메토트렉세이트


NF-kB

= 핵 인자 카파 B 신호 전달


NO

= 일산화질소 oxide


ROS

= 반응성 산소종


SOD

=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


Th

= T 헬퍼 세포


TNF

= 종양괴사인자


참고문헌


[1]. Hur J. Donguibogam (原本 東醫寶鑑). new version. 서울, 대한민국: 남산당, 2014:78.

여기에 인용


[2]. Kim MD. 경옥고의 효능과 제조 과정에 대한 문헌 연구. J Korean Class. 2011;24:51–64.

여기에 인용 |


Google Scholar

[3]. Lee JH, Seo YB, Kim BS. 경옥고의 미덕에 대한 역사적 분석을 통한 현대적 응용에 대한 연구. J Haehwa Med. 2016;24:25–34.


전체 참고문헌 목록 보기


키워드:

herbal medicine; 약초-약물 상호작용; 한의학; 경옥고; 서사적 리뷰


저작권 © 2022 저자(들). Wolters Kluwer Health, Inc.에서 출판

조회수 2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경옥고 중에 간손상을 일으키는 약재가 있나요?

공진단과 경옥고는 한의학에서 널리 알려진 유명한 명약으로, 체력 회복과 면역력 강화에 효과가 큽니다. 하지만 간혹 "이 약재들이 간에 부담을 주지 않을까?"라는 걱정을 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공진단과 경옥고의 주요 성분을 분석하여 간...

Comentaris


img_ci_logo_white.png
To promote universal health of mankind Korea's best total healthcare company in the world!
https://www.hpusa.shop
  • 페이스 북
  • 유튜브

152 Red hawk ct, Brisbane CA 94005

©2022 by HPUSA.

bottom of page